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과학이야기

폭염, 폭우 발생 원리

by InLab 2025. 9. 10.
728x90

지구 온난화로 바다와 대기가 따뜻해지면(=에너지·수분 공급 증가) 공기는 더 많은 수증기를 담을 수 있게 되어

비가 집중적으로 내릴 확률이 커지고, 동시에 대기 패턴(기류·블로킹)과 토양 건조화 때문에 **장기간 지속되는 고온(폭염)**이 더 자주·강하게 발생합니다.


1) 폭우가 더 빈번해지는 이유 — 단계별 원리

  1. 대기 온도 상승 → 공기가 더 많은 수증기 보유
    • 물리적으로 따뜻한 공기는 더 많은 수증기를 담습니다(대략 1°C 상승 당 포화수증기량 약 7% 증가).
  2. 해수면·토지 온도 상승 → 증발 증가
    • 따뜻한 바다·호수에서 증발이 늘어나 대기 중 수증기량이 증가합니다.
  3. 수증기 응결 → 강한 강수와 잠열 방출
    • 상승기류로 수증기가 응결할 때 방출되는 잠열(latent heat)이 주변 공기를 더 불안정하게 만들어 강한 상승기류와 폭우(거대한 뇌우, 집중호우)를 강화합니다.
  4. 기상 패턴 변화 — 수렴·정체 발생 시 집중강수
    • 제트기류·저기압 경로가 변하면 비가 내리는 장소에 강수 수렴(같은 곳으로 공기·수증기가 모이는 현상)이 오래 지속되어 극한 폭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열대 저기압(태풍) 강화
    • 바다표면이 따뜻하면 태풍·열대저기압의 증기 공급·강도가 커져 폭우를 동반하는 확률이 증가합니다.

2) 폭염이 더 자주 발생하는 이유 — 단계별 원리

  1. 기초 온도(배경 기온) 상승
    • 평균 기온이 높아지면, 극단적 고온(예: 35–40°C 이상)도 더 자주 발생합니다.
  2. 대기 정체(블로킹 고기압)의 빈도·지속 증가
    • 고기압이 특정 지역 위에 오랫동안 머무르면 구름이 걷히고 태양복사량이 쏟아져 들어와 낮 기온이 크게 올라갑니다.
  3. 하강기류에 의한 압축 가열
    • 고기압 중심에서는 공기가 아래로 내려오며 압축되어 온도가 더 올라갑니다(adiabatic warming).
  4. 토양·식생 건조화(피드백)
    • 가뭄으로 토양수분이 줄면 증발냉각이 약해져 같은 일사량에서 더 높은 기온이 됩니다.
  5. 도시열섬 효과
    • 도시화로 열저장·방출 특성이 변해 도시는 주변보다 훨씬 더 뜨거워집니다(야간 폭염 심화).

3) 폭우와 폭염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가 (같은 원인, 다른 결과)

  • 공통된 원인: 배경 온난화(에너지 증가) → 대기 중 수증기량·에너지 총량 증가 → 두 현상의 빈도/강도 상승.
  • 어떤 상황에서 폭우로 연결되는가? 강한 상승류와 수렴(=공기가 모이는 지역)이 있을 때 → 극한 폭우.
  • 어떤 상황에서 폭염으로 연결되는가? 고기압성 정체·하강류가 오래 머무를 때 → 폭염.
  • 제트기류의 요동(메아리 같은 굴곡)·블로킹 때문에 같은 지역에서 비·맑음이 장기간 정체되며, 정체된 패턴이 폭우 또는 폭염을 초래합니다.
  • 토지-대기 피드백: 예를 들어 긴 가뭄(건조)은 폭염을 악화시키고, 폭우 후에는 국지적 홍수·누적습도로 야간 더위·불쾌지수 상승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폭염은 마치 뜨거운 뚜껑이 땅을 덮고 있는 모습으로 상상할 수 있어요.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고, 그 열이 뚜껑 아래 갇혀서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땅이 점점 더 뜨거워지는 것이 폭염입니다.

 

폭우냄비에서 물이 끓어 넘치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생각해보세요. 바다나 땅에서 수증기가 많이 올라가서 하늘에 구름이 잔뜩 생기는데, 이 구름이 너무 많은 물을 담고 있어서 한꺼번에 쏟아져 내리는 것이 폭우입니다.

두 현상 모두 지구가 점점 뜨거워지면서 더 심해지고 있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