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계절을 읽는 비밀의 열쇠! 24절기, 알고 나면 더 재밌다!다양한 정보 2025. 7. 14. 22:02
입춘이 언제더라?
추분에는 왜 밤이 길어질까?
김장은 왜 입동 무렵에 하는 걸까?이 모든 해답을 알려주는 게 바로 **"절기"**예요.
옛 조상들은 달력 대신 하늘을 읽고 땅을 살펴서 계절을 짚어냈고, 그 정수가 바로 24절기랍니다.오늘은 그 절기의 세계로, 재미있게 한 번 빠져보시죠!
🌞 절기란 무엇인가요?
절기(節氣)는 1년을 24등분한 것!
쉽게 말해, 15일마다 바뀌는 자연의 시계예요.
태양이 하늘에서 도는 길, 즉 황도 위에서 어디쯤 있는지를 기준으로 정해졌답니다.그래서 입춘·우수·경칩… 대서·입동·동지 등 이름도 특이하죠?
이 절기 덕분에 조상님들은 비 오는 시기, 모 심는 시기, 김장할 날까지 척척 알아냈어요.
🍀 절기는 그냥 날씨만 알려주는 걸까?
NO!
절기는 단순히 계절을 알려주는 걸 넘어,
농사, 음식, 건강, 속담, 심지어 제사까지 영향을 준 전통 문화 시스템이에요.게다가, 요즘처럼 계절감이 사라진 시대에 절기를 알면
"언제 꽃이 피고, 언제 감기 조심하고, 언제 몸보신을 해야 할지"까지 알 수 있으니 꽤 쓸모 있죠!
🌸 봄 절기 (입춘 ~ 곡우)
절기 시기 의미 입춘 2월 4일경 ‘입춘대길’ 붙이는 날. 봄의 시작! 우수 2월 19일경 눈이 녹고 봄비가 슬슬. 경칩 3월 5일경 개구리 ‘개굴개굴’ 깨어나는 때!, 동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남 춘분 3월 20일경 밤낮이 똑같다! 균형의 날. 청명 4월 4~5일경 하늘이 맑고 밝아지는 시기, 하늘이 맑고 바람이 선선~ 곡우 4월 20일경 곡식에 알맞은 비가 내림, 농부 손바닥이 바빠지기 시작. 🍱 이때는 냉이, 달래, 쑥 같은 봄나물이 제철!
🌿 알레르기 비염 있는 분들은 마스크 필수!☀️ 여름 절기 (입하 ~ 대서)
절기 시기 의미 입하 5월 5~6일경 여름의 시작 소만 5월 21일경 만물이 자라고 가득 찬 느낌 망종 6월 6일경 보리 수확, 모 심기 적기, 모내기! “바쁘다 바빠 농사일~” 하지 6월 21~22일경 낮이 1년 중 제일 길어요. 소서 7월 7일경 본격적인 더위 시작 대서 7월 23일경 가장 더운 시기, "헉헉…" 1년 중 가장 더운 날! 🍉 수박, 열무김치, 콩국수! 여름별미 등장
🧴 자외선 차단제 & 물 많이 마시기 잊지 마세요~
🍂 가을 절기 (입추 ~ 상강)
절기 시기 의미 입추 8월 7~8일경 가을의 시작 처서 8월 23일경 더위가 꺾이고 선선해짐 백로 9월 7~8일경 이슬이 내리기 시작 추분 9월 22~23일경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 한로 10월 8일경 찬 이슬이 맺힘 상강 10월 23일경 서리가 내리기 시작함 본격 가을 마무리! 🥮 송편, 밤, 감, 곶감! 입이 행복한 가을
🧥 일교차 크니까 가벼운 외투 하나 챙기세요~❄️ 겨울 절기 (입동 ~ 대한)
절기 시기 의미 입동 11월 7~8일경 겨울의 시작 “김장 시작!” 배추도 준비 완료! 소설 11월 22일경 첫눈이 내리기 시작함 대설 12월 7~8일경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 동지 12월 21~22일경 밤이 가장 긴 날 팥죽! 먹고 나면 귀신도 도망간대요. 소한 1월 5~6일경 겨울 중 약간 추운 시기 대한 1월 20일경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 🍲 팥죽, 곰탕, 미역국 같은 따뜻한 음식 챙기고
🔥 보일러 점검, 창문 틈새 막기 등 방한 준비도 필수!🧭 절기의 기준은 어떻게 정할까?
- 태양이 황도(태양이 지나가는 경로) 상의 특정 위치(황경 0°부터 360°까지)에 도달할 때를 기준으로 합니다.
- 예: 입춘은 태양의 황경이 315도일 때, 동지는 270도일 때에 해당합니다.
🌾 절기와 농사
절기는 고대 농경문화에서 매우 중요했어요.
예를 들어:- 곡우엔 "곡식에 비가 내린다"는 의미로 모심기 시작
- 입하엔 농사의 본격적인 시작
- 백로, 한로는 추수 준비의 기준
📜 한국의 전통 문화와 절기
- 한식(청명 다음 날): 조상을 기리는 날, 성묘
- 동지: 팥죽을 끓여 귀신을 쫓는 풍습
- 입춘: ‘입춘대길’ 등의 글귀를 문에 붙임
- 추분, 춘분: 조상 제사를 지내는 시기
🗓 절기와 양력 비교
절기는 양력 날짜로 거의 고정되어 있지만, 매년 1~2일 정도 차이가 날 수 있어요. 이는 윤달 등 음력 조정과도 연관됩니다.
🔄 24절기 요약 🔄봄: 입춘 ~ 곡우🔥 여름: 입하 ~ 대서🍁 가을: 입추 ~ 상강❄️ 겨울: 입동 ~ 대한🕒 약 15일 간격 / 태양 황도 15도마다 변화 🌾 농사, 건강, 계절 예측 기준반응형'다양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복더위란? 여름을 지배하는 세 번의 복날 이야기 (0) 2025.07.15 7월 열대야·폭염, 언제까지 계속될까? 잠 못 드는 밤을 이기는 법! (0) 2025.07.08 [간편식 냉면 품질비교 결과] 냉면, 식감과 매운맛 차이 있음, 육수·비빔장 조절로 나트륨 섭취 조절필요 (0) 2025.07.04 휴대용 보조배터리 안전사용법 (0) 2025.07.01 [벽걸이형 에어컨 품질비교] 주요 성능 가격·에너지비용에 차이 있음 (0) 2025.06.30 2025년 6월 이슈 한눈에 보기: 놓치면 아쉬운 이번 달 일정 (1) 2025.06.24 [유성구] 트램건설 주민설명회 (0) 2025.06.24 [유성구] 불법주정차 단속 유예 (0) 2025.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