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이 언제더라?
추분에는 왜 밤이 길어질까?
김장은 왜 입동 무렵에 하는 걸까?
이 모든 해답을 알려주는 게 바로 **"절기"**예요.
옛 조상들은 달력 대신 하늘을 읽고 땅을 살펴서 계절을 짚어냈고, 그 정수가 바로 24절기랍니다.
오늘은 그 절기의 세계로, 재미있게 한 번 빠져보시죠!
🌞 절기란 무엇인가요?
절기(節氣)는 1년을 24등분한 것!
쉽게 말해, 15일마다 바뀌는 자연의 시계예요.
태양이 하늘에서 도는 길, 즉 황도 위에서 어디쯤 있는지를 기준으로 정해졌답니다.
그래서 입춘·우수·경칩… 대서·입동·동지 등 이름도 특이하죠?
이 절기 덕분에 조상님들은 비 오는 시기, 모 심는 시기, 김장할 날까지 척척 알아냈어요.
🍀 절기는 그냥 날씨만 알려주는 걸까?
NO!
절기는 단순히 계절을 알려주는 걸 넘어,
농사, 음식, 건강, 속담, 심지어 제사까지 영향을 준 전통 문화 시스템이에요.
게다가, 요즘처럼 계절감이 사라진 시대에 절기를 알면
"언제 꽃이 피고, 언제 감기 조심하고, 언제 몸보신을 해야 할지"까지 알 수 있으니 꽤 쓸모 있죠!
🌸 봄 절기 (입춘 ~ 곡우)
절기 | 시기 | 의미 |
입춘 | 2월 4일경 | ‘입춘대길’ 붙이는 날. 봄의 시작! |
우수 | 2월 19일경 | 눈이 녹고 봄비가 슬슬. |
경칩 | 3월 5일경 | 개구리 ‘개굴개굴’ 깨어나는 때!, 동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남 |
춘분 | 3월 20일경 | 밤낮이 똑같다! 균형의 날. |
청명 | 4월 4~5일경 | 하늘이 맑고 밝아지는 시기, 하늘이 맑고 바람이 선선~ |
곡우 | 4월 20일경 | 곡식에 알맞은 비가 내림, 농부 손바닥이 바빠지기 시작. |
🍱 이때는 냉이, 달래, 쑥 같은 봄나물이 제철!
🌿 알레르기 비염 있는 분들은 마스크 필수!
☀️ 여름 절기 (입하 ~ 대서)
절기 | 시기 | 의미 |
입하 | 5월 5~6일경 | 여름의 시작 |
소만 | 5월 21일경 | 만물이 자라고 가득 찬 느낌 |
망종 | 6월 6일경 | 보리 수확, 모 심기 적기, 모내기! “바쁘다 바빠 농사일~” |
하지 | 6월 21~22일경 | 낮이 1년 중 제일 길어요. |
소서 | 7월 7일경 | 본격적인 더위 시작 |
대서 | 7월 23일경 | 가장 더운 시기, "헉헉…" 1년 중 가장 더운 날! |
🍉 수박, 열무김치, 콩국수! 여름별미 등장
🧴 자외선 차단제 & 물 많이 마시기 잊지 마세요~
🍂 가을 절기 (입추 ~ 상강)
절기 | 시기 | 의미 |
입추 | 8월 7~8일경 | 가을의 시작 |
처서 | 8월 23일경 | 더위가 꺾이고 선선해짐 |
백로 | 9월 7~8일경 | 이슬이 내리기 시작 |
추분 | 9월 22~23일경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 |
한로 | 10월 8일경 | 찬 이슬이 맺힘 |
상강 | 10월 23일경 | 서리가 내리기 시작함 본격 가을 마무리! |
🥮 송편, 밤, 감, 곶감! 입이 행복한 가을
🧥 일교차 크니까 가벼운 외투 하나 챙기세요~
❄️ 겨울 절기 (입동 ~ 대한)
절기 | 시기 | 의미 |
입동 | 11월 7~8일경 | 겨울의 시작 “김장 시작!” 배추도 준비 완료! |
소설 | 11월 22일경 | 첫눈이 내리기 시작함 |
대설 | 12월 7~8일경 |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 |
동지 | 12월 21~22일경 | 밤이 가장 긴 날 팥죽! 먹고 나면 귀신도 도망간대요. |
소한 | 1월 5~6일경 | 겨울 중 약간 추운 시기 |
대한 | 1월 20일경 |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 |
🍲 팥죽, 곰탕, 미역국 같은 따뜻한 음식 챙기고
🔥 보일러 점검, 창문 틈새 막기 등 방한 준비도 필수!
🧭 절기의 기준은 어떻게 정할까?
- 태양이 황도(태양이 지나가는 경로) 상의 특정 위치(황경 0°부터 360°까지)에 도달할 때를 기준으로 합니다.
- 예: 입춘은 태양의 황경이 315도일 때, 동지는 270도일 때에 해당합니다.
🌾 절기와 농사
절기는 고대 농경문화에서 매우 중요했어요.
예를 들어:
- 곡우엔 "곡식에 비가 내린다"는 의미로 모심기 시작
- 입하엔 농사의 본격적인 시작
- 백로, 한로는 추수 준비의 기준
📜 한국의 전통 문화와 절기
- 한식(청명 다음 날): 조상을 기리는 날, 성묘
- 동지: 팥죽을 끓여 귀신을 쫓는 풍습
- 입춘: ‘입춘대길’ 등의 글귀를 문에 붙임
- 추분, 춘분: 조상 제사를 지내는 시기
🗓 절기와 양력 비교
절기는 양력 날짜로 거의 고정되어 있지만, 매년 1~2일 정도 차이가 날 수 있어요. 이는 윤달 등 음력 조정과도 연관됩니다.
'다양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부하고 여행가자! (0) | 2025.08.06 |
---|---|
탄동천에서 과학이랑 스탬프 투어하기 (0) | 2025.07.30 |
🌙 음력이란? 매년 헷갈리는 이유부터 윤달까지 한 번에 정리! (0) | 2025.07.16 |
🔥삼복더위란? 여름을 지배하는 세 번의 복날 이야기 (0) | 2025.07.15 |
7월 열대야·폭염, 언제까지 계속될까? 잠 못 드는 밤을 이기는 법! (0) | 2025.07.08 |
[간편식 냉면 품질비교 결과] 냉면, 식감과 매운맛 차이 있음, 육수·비빔장 조절로 나트륨 섭취 조절필요 (0) | 2025.07.04 |
휴대용 보조배터리 안전사용법 (0) | 2025.07.01 |
[벽걸이형 에어컨 품질비교] 주요 성능 가격·에너지비용에 차이 있음 (0)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