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친환경 제품 개발 및 생산 대응 방안

by InLab 2025. 6. 26.
728x90

 친환경 제품 개발은 단순한 환경 보호를 넘어, 지속 가능한 기업 활동과 소비자 요구 변화에 대한 필수적인 대응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재활용 소재 활용 극대화     

  • PCR (Post-Consumer Recycled) 플라스틱 사용 확대:
    • 구체적인 적용: 샴푸, 린스, 바디워시, 세제 용기 등 대용량 플라스틱 용기에 PCR 플라스틱 비율을 최대 까지 적용합니다. (예: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재생 플라스틱 사용 비중을 늘리고 있습니다.)
    • 기술 협력: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재생 원료로 만드는 기술을 보유한 전문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안정적인 원료 수급 및 품질 확보에 주력합니다.
    • 식품용기 등급의 PCR 개발: 일부 기업은 식품 접촉이 가능한 수준의 고품질 PCR 플라스틱 개발에 투자하여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
  • 유리, 알루미늄 등 재활용률 높은 소재 전환:
    • 적용 제품: 고품질을 요구하는 화장품 용기나 일부 세제 용기를 유리나 알루미늄 등 재활용이 용이하고 자원 순환 가치가 높은 소재로 변경합니다. (예: 멜릭서, 러쉬 등)
    • 경량화: 운송 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재활용 소재로 용기를 만들 때도 최대한 경량화하는 기술을 적용합니다.
  • 해양 폐플라스틱,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활용:
      • 특수 소재 활용: 해변이나 바다에서 수거한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활용하거나(예: 아디다스-팔리 오션 플라스틱 협업과 유사한 개념을 생활용품에도 적용) 옥수수 전분, 사탕수수 등 식물 유래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한 플라스틱(PLA, PEF 등)을 개발하여 사용합니다.

2. 리필 및 다회용 시스템 구축       

    • 리필 스테이션 운영: 대형마트, 백화점, 드럭스토어 등에 샴푸, 바디워시, 세제 등의 내용물을 소분하여 판매하는 '리필 스테이션'을 설치하고 소비자 접근성을 높입니다. (예: 아모레퍼시픽 아리따움 리필 스테이션, 이마트 에코 리필 스테이션 등)
    • 리필 파우치 및 캡슐형 제품 출시: 기존 용기에 담아 쓸 수 있는 대용량 리필 파우치나, 물에 녹여 사용하는 농축된 캡슐형 세제를 개발하여 플라스틱 용기 사용량 자체를 줄입니다.
    • 다회용기 보증금/회수 시스템: 소비자가 다 쓴 용기를 반납하면 보증금을 돌려주거나, 회수된 용기를 세척하여 재사용하는 시스템을 도입합니다. (예: 배달 용기 재사용 시스템과 유사)

3. 생분해성 및 천연 유래 원료 사용    

  • 생분해성 계면활성제 사용: 세제나 샴푸 등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석유계에서 식물 유래(팜유, 코코넛 오일 등)의 생분해성 계면활성제로 대체하여 수질 오염을 최소화합니다.
  • 천연 유래 성분 비중 확대: 인공 향료, 색소, 방부제 대신 에센셜 오일, 식물 추출물 등 천연 유래 성분의 함량을 높여 제품의 친환경성을 강화합니다.
  • 미세 플라스틱 제거: 스크럽제 등에 사용되던 미세 플라스틱(마이크로비즈)을 쌀가루, 호두껍질 가루 등 천연 유래 스크럽제로 완전히 대체합니다.

4. 생산 공정의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배출량 저감  

  • 재생에너지 전환: 생산 공장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거나, 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C) 구매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늘려 사용 전력의 탄소 배출을 줄입니다.
  • 폐열 회수 및 에너지 절약 설비 투자: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여 재활용하거나, 고효율 설비 및 LED 조명 등으로 교체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입니다.
  • 수자원 절약 및 폐수 처리 강화: 생산 공정에서 물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첨단 폐수 처리 시설을 도입하여 방류되는 물의 수질을 개선합니다.

5. 제품 디자인 및 포장의 환경성 고려    

  • 단일 재질 용기: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여러 종류의 플라스틱을 섞지 않고 단일 재질로 용기를 만듭니다.
  • 무라벨/이지 필(Easy Peel) 라벨 도입: 라벨 분리 수거의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라벨을 없애거나,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라벨을 도입합니다.
  • 최소 포장 원칙: 제품을 과도하게 포장하지 않고, 필요한 최소한의 포장재만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들은 생활용품업계가 환경 문제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소비자의 가치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