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26 [세제]란 ? 1. 정의'세제'라고 하면, 사전 등에서는 "의류·식기등의 오염을 씻어 내기 위해서 이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비누, 합성 세제 등. 세정제. 의류, 식기, 과일 채소 등을 세척하는데 사용하는 것. 2. 사람의 몸 이외의 물건을 씻는 것이 '세제'일반적으로 '세제'는 몸을 씻기 위한 화장비누·약용비누·바디워시·샴푸등의 「신체 세정료」는 포함하지 않고, 사람의 몸 이외의 물건을 씻기 위한 것. 씼는 "물건"의 범위도, 의류나 식기나 주방용품, 주거나 가구 등 다양하고, 오염의 특성이나 제거하는 방법도 달라 용도와 목적에 따라 크게 분류되어 있음. 3. 중요한 것은 '성분'세제의 종류 구분으로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성분"!! 세제의 주성분은 계면활성제이나 세정의 주작용이 계면활성제에 의한 것.. 2024. 12. 19. [계면활성제] 물과 기름은 친할까? 물과 기름은 친하지 않은 사이다. 섞을 수 없음...ㅠㅠ 하지만 물과 친한 특성을 가진 친수기와 기름과 친한 특성을 한분자에 가진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기름과 물이 섞일 수 있는 사이로 만들어줌 이 원리로 손에 묻은 기름이 물로는 닦이지 않지만 계면활성제 성분의 비누로 싰으면 기름 오염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음. 2024. 12. 19. [계면활성제] 3가지 특성 계면활성제의 3가지 특성계면활성제의 대표적인 3가지 특성이 함께 작용하며 세정력을 구현함 (1) 침투 작용물은 분자끼리가 끌어당기는 힘이 크기 때문에, 물에 젖기 어려운 울 등의 섬유를 물속에 넣어도, 섬유 속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음그런데, 물에 계면 활성제를 넣으면 힘(계면장력)이 줄어들어 섬유 속으로 물이 쉽게 침투함(2) 유화 작용물에 기름을 섞어도, 기름은 위, 물은 아래로 분리됨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친유기가 기름의 입자에 흡착하기 때문에, 기름은 계면활성제의 분자에 묻혀 작은 방울이 되어 물속에 흩어져, 물과 섞인 상태가 됩니다.세척물의 오염을 감싸는 것이 이 원리임(3) 분산 작용고체분말을 물에 넣은 경우, 섞이지 않고 표면에 떠있지만 계면활성제를 넣으면분말입자에 계면활성제의 분자가.. 2024. 12. 16. 겨울철 폭설·습설 대비 행동요령 올겨울 눈이 많이 내린다는 예보들이 있어 폭설 습설 대비 행동 요령을 찾아보았습니다. 눈 내리기 전 기상정보를 수시로 확인해 폭설과 습설에 대비 눈이 쌓였을 경우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고 대중교통 이용 운전 시 결빙, 도로 살얼음에 대비해 안전거리 유지❶ 기상정보를 수시로 확인하여 폭설·습설에 대비하세요* 습설(濕雪)은 일반 눈에 비해 3배(최대 10배) 이상 무거워 시설물 붕괴 등 피해 우려가 큼❷ 노후 건물, 시설물은 미리 점검·보강하고, 위험요소는 제거하세요* 비닐하우스 지주 보강, 수목 나뭇가지 정리, 천막·캐노피 분리·해체 등❸ 주변의 안전한 대피소와 이동경로를 사전에 확인하세요* 국민재난안전포털(safekorea.go.kr), 안전디딤돌 앱, 지자체 홈페이지 등 활용❹ 정전·고립에 대비하.. 2024. 12. 15. 계면활성제란?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 surfactant) 란?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말한다. 계면활성제는 일정 농도 이상에서 계면활성제 분자들끼리 모여 미셀(micelle)이라는 구조를 형성하며 미셀은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임계 미셀 농도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이상에서 형성된다. 미셀이 물에서 형성될 때,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부분은 중심부에 모여 핵을 형성하고 친수성 부분은 물과 접촉하는 외곽 부분을 형성기름과 같이 소수성 물질은 미셀의 안쪽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안정화되고 물에 녹게 되는데 이를 용해화(solubilization)라 하며이는 세제 작용의 기본 원리이다. 계면이란 기체와 액체, 액체와 액.. 2024. 12. 15. 폐의약품 배출 요령 환경오염과 약물 오남용 방지를 위한 '폐의약품 배출 요령' 입니다 폐의약품이 매립되거나 하수구 등에 버려지면 토양과 하천, 지하수가 오염돼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유성구는 각 동 행정복지센터와 보건소, 도서관 등에 폐의약품 배출 전용 수거함을 설치,운영하고 약국의 폐의약품과 함께 일괄 수거·소각하고 있다고 합니다. 조금 번거롭더라도 건강과 환경을 지키기 위해 폐의약품 수거함을 통한 분리배출에 동참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폐의약품 배출 요령 알약·캡슐 약 : 포장 제거 후 배출 가루약 : 약포지 그대로 배출 물약(시럽) : 새지 않게 밀봉 후 배출 연고 : 종이 포장 제거 후 통째로 배출 건강기능식품 : 일반쓰레기로 배출 전용 수거함 위치 유성구청 보건소 보건진료소 .. 2024. 12. 13.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728x90